spring 3

[Kafka] 카프카의 스펙을 적절히 설정하는 방법 - 1

서론회사에서 이벤트 브로커를 만들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생겼다.기존에 우리 회사는 IoT 기기로부터 전달된 이벤트를 받아서 쓰기 때문에, 이를 저장하거나, 갈무리해 관리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었다. 이번에 새로운 3rd-party 플랫폼을 추가하게 되어서, 해당 작업을 맡게 되었다.전반적인 아키텍처는 구도가 잡혔는데, 파티션 수, 토픽의 개수, 순서 보장 방법, 클러스터 내 브로커 개수 등의 세부적인 설계가 필요한 상황이 되었다.카프카의 스펙을 어떻게 설정하는지, 기초부터 차근차근 따져가면서 생각해보기로 하자.설계가 필요한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.본론배경먼저 현 상황에 대해 간단히 기술해보자면 TPS 기준으로, 평상시 700~800, 특정 타임 1500~2500, 스파이크 시 3500 이상의..

Backend/Kafka 2025.02.01

[Spring Batch] @JobScope, @StepScope

서론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막바지에 간단하게 스프링 배치를 찍먹할 겸, 적용하기로 했다. 강의와 예제를 참고하면서 코드를 작성하는데, 강의에서 @JobScope 와 @StepScope 라는 어노테이션이 사용되었다. 강의에서 안알려주길래 궁금해서 찾아봤다. 참고 https://heekng.tistory.com/178 [Spring Batch] @JobScope와 @StepScope @JobScope와 @StepScope Scope란?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빈이 관리되는 범위 singleton, prototype, request, session, application이 있으며 기본은 singleton으로 생성된다. 스프링 배치 스코프 @JobScope, @StepScope @Bean @JobSc heekng.t..

[Spring/Springboot] 스프링 bean과 등록 방법

목차 이 글은 Notion에서 작성 후 재편집한 포스트입니다. 서론 스프링 컨테이너 내부에서 서로 어떤 역할을 하는지는 대부분의 @어노테이션으로 해결이 가능합니다. 대표적으로 MVC모델에선 @Controller, @Service, @Repository 등의 어노테이션이 각각 컨트롤러, 서비스, 레파지토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됩니다. 본 포스트에선 스프링 bean을 어떻게 등록하는지와 그 원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김영한님의 인프런 스프링 강의 내용을 정리한 내용입니다. 참고 https://www.inflearn.com/course/%EC%8A%A4%ED%94%84%EB%A7%81-%EC%9E%85%EB%AC%B8-%EC%8A%A4%ED%94%84%EB%A7%81%EB%B6%80%ED%8A%B8..